블로그 메인인사이트
인사이트

기계설비 유지관리 자세히 알아보기, 일반 사항 · 지침서 · 안전조치

2023-08-30

2018년 기계설비산업 발전을 위한 기계설비법이 처음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제정 이후 3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1년 4월에 시행된 기계설비법은 다수의 인원이 이용하는 안전한 기계설비를 만들기 위해 시행되었는데요.

오늘은 기계설비법 과 기계설비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유지관리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기계설비법이란?

“이 법은 기계설비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기계설비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국가 경제의 발전과 국민의 안전 및 공공복리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021년 4월에 시행된 기계설비법의 시행 목적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최근 안전이나 건강, 에너지 효율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커짐에 따라 공기 조화, 냉난방, 위생 설비 등 기계설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했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기계설비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 기계설비란?

건축물, 시설물에 설치된 기계 · 기구 · 배관 및 그밖에 건축물 등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위와 같은 기계설비는 주기적으로 유지관리를 진행해야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데요. 기계설비법에서는 이를 위해 제5장에 따라 기계설비 유지관리에 대한 내용을 고시하고 있습니다.

2. 기계설비 유지관리

기계설비법에 따르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 등에 설치된 기계설비의 관리자*는 유지관리 기준을 준수 하여야 하며, 관리자는 유지관리기준에 따라 기계설비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성능을 점검하고 그 점검 기록을 작성하여야 한다고 명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유지관리란 기계설비의 점검 및 관리를 실시하고 운전 · 운용하는 일체의 행위를 말합니다.

📍 기계설비유지관리자란?

기계설비의 유지관리(기계설비의 점검 및 관리를 실시하고 운전·운용하는 모든행위)를 수행하는 사람

관리자는 유지관리 기준에 따라 기계설비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성능을 점검하고 그 점검 기록을 작성해야 하는데요. 점검 진행 시 관리자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계설비 유지관리 고려사항

[기계설비 유지관리 일반사항]

  1. 건축물 등에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것
  2.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관리할 것
  3. 기계설비 수명 기간 중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할 것

유지관리에 대한 일반 사항인 만큼 특별히 어려운 부분 없이 진행할 수 있는 사항들인데요. 하지만 위와 같은 일반 사항은 기본적으로 관리해야 되는 사항들인 만큼 관리자의 꼼꼼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유지관리 진행 시에는 아래와 같은 유지관리 지침서를 구비해야 합니다.


[기계설비 유지관리 지침서]

  1. 기계설비 준공도서
  2. 기계설비 시스템 운용 매뉴얼
  3. 기계설비 사용 전 확인표
  4. 기계설비 성능확인서
  5. 기계설비 안전확인서
  6. 기계설비 사용적합 확인서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계획의 수립, 안전조치

관리자는 기계설비에 대해 매년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데요.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점검대상 기계설비의 종류 및 항목
  2. 점검대상 기계설비의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절차 및 점검 주기
  3.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안전조치 방안

또한 인력 투입 계획, 장비 현황, 기계설비 수량 등의 내용이 포함된 성능점검 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데요. 이 경우, 열원 및 냉난방 설비의 성능점검은 냉방설비와 난방설비를 구분하여 격년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관리주체는 점검 대상 기계설비에 대해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대상 현황표를 작성하여 비치해야 하며, 기계설비의 교체 등으로 현황표의 세부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 갱신해야 합니다.

안전조치의 경우에는 관리주체가 점검 전 재해방지 대책을 수립해야 하며, 응급상황에 대한 작업 매뉴얼 작성 및 비치 그리고 사고 또는 이상 상황 발생 시 필요에 따라 조치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안전한 기계설비 관리를 위해서는 체계화된 관리 프로세스 구축이 필요합니다. 관리해야 할 문서도 많은 만큼 초기에 프로세스를 구축하지 않으면 관리자 입장에서 기계설비 관리에 할애하는 업무 시간보다 문서 관리에 할애하는 시간이 더 많아지면서 업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요.

실제로 신젠타코리아의 경우 공장 내 설비 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하다(HADA)를 도입해 공장 시설 관리의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젠타코리아 사례 보기 >>

안전한 기계설비 만들기를 위해 관리 프로세스 구축을 하다(HADA) 서비스와 함께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간편한 기계설비 유지관리 방법 알아보기 >
함께보면 좋은 글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시설 관리도 스마트하게,
하다와 함께 시작해보세요